서론
다들 한달 보상으로 영웅 pvp 장비상자(배경아이템)를 얻으셨을거라 본다. 테라m에서는 장비합성이 없어서 배경아이템은 게임 내 컨텐츠나 뽑기를 통해서만 얻을 수가 있는데 슬슬 정예던전도 어느정도 매크로로 돌릴 수 있고 pvp장비에 욕심이 생길거라 본다. 나름 전략만 잘 짜면 얻을 수 있는 필드보스 보상과 필드보스를 잡기 위한 시간표를 소개하고자 한다.
본론
필드보스 보상?
필드보스를 잡아 10등 안에 들어가면 필드보스 보상상자를 얻을 수가 있다. 물론 보스몬스터에게 대미지만 가하더라도 참여 보상인 골드를 얻을 수 있어 골드가 부족한 유저들에게 시간이 허락해 준다면 필드보스는 꼭 거쳐야 할 컨텐츠이다.
위에 사진에 표시되어있는 영웅 장신구 상자, 영웅 장비 상자에서 PVP장비(배경)가 100%는 아니지만 나올 수도 있다.(사람들 말로는 30상자에 1개 꼴) 하지만 10등 안에 들어야 하고 어떻게 보면 힐러와 탱커 입장에선 불리 할 수도 있는 보상 방식인데 그래도 조금이나마 더 먹을 수 있는 확률을 올릴 수 있는 방법을 공유하고자 한다.
한가지 더 , 사실 현재 필드보스에서 직업별로 좋고 나쁘다는 인식이 박혀 있는데 굳이 말씀드리자면 라브렝이 가장 좋고, 그 다음이 무사, 그 다음이 리벨리아, 그다음이 솔 리나 정도이고 마지막이 올랜더이다. 대미지 산출 방식에서 탱커들의 도발과 힐러들의 힐도 포함된다고 하는데 그래도 힐러와 탱커들이 먹기엔 힘들다. 리벨리아도 낮은 편인데 개인적으론 원거리에서 치다보면 스킬 한개가 계속 놀고 있기 때문에 누적딜에서 밀리는 것 같다. 무사와 같이 옆에 붙어서 스킬을 다 돌려주면 무사와 비슷할꺼라 생각한다.
라브렝이 가장 좋은 이유는 다른 라브렝이 걸어놓은 불안정한 상태에도 추가대미지를 줄 수 있어서(아닐 수도 있다.. 뇌피셜) 그냥 계속 해서 추가대미지를 주고 있다고 보면 되고 전투가 유지될때 올라가는 추가대미지와 보스에게 그 다지 피해를 입지 않기 때문에 딜로스가 적어 동급 전투력 기준 라브렝 대미지를 넘어설 다른 직업은 없을 것 같다.
보스용 전용 세팅과 채널선택을 잘해야
핵과금러라 남들에 비해 전투력이 월등히 높다면 별 상관이 없다. 차라리 사람 많은 채널에서 대기를 타다 한마리 잡고 난 뒤 뒤쪽의 채널로 이동하여 잡는다면 보상을 두번도 받을 수가 있을 것이다. 그게 아니라 이제 신화 무기 맞추고 방어구 올리는 시점이라면 채널 선택을 잘해야 한다. 아 물론 보스전용 세팅은 필수이다. 룬들은 되도록이면 치명으로 맞추고 또한 룬 능력치는 거인형으로 맞춰주는 것이 좋다. 영웅 특성들 또한 보스 추가 대미지로 변경해야 한다.
채널은 되도록이면 중간 채널을 이용하자. 그리고 포화인 채널은 안가는게 좋다. 핵과금러들이 포진되어 있기 때문에 10위 안에 들어가기가 상당히 힘들다. 따라서 되도록이면 사람이 정말 없는 채널 (뒤쪽)에서 오랫동안 보스에게 대미지를 주는 것이 유리하겠다.
보통 핵과금러들이나 사람이 많아도 10등안에 드는 사람들은 보상을 두번씩 챙기려고 앞쪽 채널에서 빠르게 녹인 후 중간 채널에서 또 잡고 마지막으로 뒤쪽 채널에서 순위안에 못들 수도 있지만 참여보상만 챙기는 형식으로들 한다. 필자와 같은 경우에는 보통 백만 전투력 대라면 10등안에는 드는 편이라 초반 채널 포화상태인 채널은 애초에 갈 생각도 안하고 중간채널 정도(쾌적)에서 시작 한 후 뒤쪽 채널로 이동하는 편이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부분이 있다. 인장은 밤피르인장이나 홍염의 인장을 착용해야 한다.
현재 버그인지는 모르겠으나 밤피르 인장과 홍염의 인장의 대미지가 퍼센테이지로 들어가기 때문에 피통이 큰 월드보스에서 대미지를 주기에 아주 용이하다. 다른 그 어떠한 인장들보다도 이 두 인장들이 최고이다. 따라서 필드보스에게 조금이라도 대미지를 주고 싶다면 밤피르 인장의 레벨을 최대한 올리고 잡는것이 중요하겠다. 또 자신의 캐릭터에 출혈대미지를 줄 수 있는 스킬이 있다면 해당 스킬로 변경해서 대미지를 주는게 누적대미지를 올리는 방법 중에 하나이다.(무사 기준 진공베기를 출혈의 날로..)
다시 정리하자면 보스세팅은 꼭 해주고, 인장은 밤피르나 홍염의 인장으로, 그리고 무기는 최소한 신화무기정도는 들어야 하며 (반지도 중요하다) 무소과금 기준 채널은 30채널이 있다고 가정하면 시작은 15~20 채널 사이에서, 그리고 잡고 난 후에 뒤쪽 채널로 가서 참여보상만 받는 정도로 플레이를 해주면 되겠다. 주변에 사람이 10명이상 넘는다면 채널을 옮기는게 좋다. 사실 전설무기 들고도 먹을 수는 있다. 새벽에 사람이 아주 적은 채널에서 오랫동안 딜하다 과금러들이 채널을 타고 넘어와서 잡아준다면 말이다.
필드보스 출현 시간표
필드보스가 리젠되는 시간은 정해져있다. 추후에 맵이 더 오픈되면 변경될 가능성도 있는데 현재 포스팅 된 날짜 기준으로 필드보스 시간표를 안내해드리도록 하겠다. 참고로 보스몬스터까지 가는 방법은 지도에서 해당 위치까지 들어 간 뒤 몬스터를 눌러보면 필드보스와 남은 시간이 표기 되어있어 쉽게 이동이 가능하다.
보스 |
리젠 장소 |
시간 |
|||||
아냔샤 |
버려진 평야 - 후카족 마을 |
00:05 | 04:05 | 08:05 | 12:05 | 16:05 | 20:05 |
쿠드라카 |
엘리누의 언덕 - 달빛 식물원 |
00:35 | 04:35 | 08:35 | 12:35 | 16:35 | 20:35 |
아비데즈 |
통곡의 해안 - 탐욕의 계곡 |
01:05 | 05:05 | 09:05 | 13:05 | 17:05 | 21:05 |
아라크네 |
통곡의 해안 - 해적 소굴 |
01:35 | 05:35 | 09:35 | 13:35 | 17:35 | 21:35 |
베슬란 |
제국령 라키타니아 - 하수 처리장 |
02:05 | 06:05 | 10:05 | 14:05 | 18:05 | 22:05 |
키클롭스 |
금지된 땅 - 수도회 사막 입구 |
02:35 | 06:35 | 10:35 | 14:35 | 18:35 | 22:35 |
폴리페모스 |
금지된 땅 - 망각의 화산 |
03:05 | 07:05 | 11:05 | 15:05 | 19:05 |
23:05 |
각 보스들은 위에서부터 차례대로 30분마다 리젠 되며 마지막 폴리페모스 까지 잡은 뒤에는 1시간 이후에 나온다. 해당 시간 전에 리젠 장소라고 써져있는 장소를 미니맵에서 찾은 뒤 몬스터에 있는 보스 추적을 통해 쉽게 이동을 하면 되겠다.
결론
필드보스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컴퓨터에 앉아서 시간이 조금씩 있는 유저라면 필드보스 추적을 걸어 놓은 뒤 이동 시킨 후 정예던전 매크로를 돌리다가 보스 리젠 3분전 쯤에 적절한 채널로 이동 후 잡은 뒤 다시 다음 보스로 이동, 정예던전 매크로를 돌리는 방식으로 하면 좀 더 효율적인 필드보스 사냥이 될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