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모바일 게임/철 지난 공략들

라그나로크M 궁수계열 사냥터 추천 및 공략

by 리빈아빠 2018. 10. 19.
반응형

서론

필자가 처음으로 4차전직까지 찍은 직업은 궁수계열인 레인저이다. 타 직업에 비해 금공훈 사용량이 적고 3차 전직 이후 초월만 한다면 준수한 사냥속도를 보여주기 때문에 입문자 직업으로써 가장 추천 할 수 있는 직업이다. 물론 상인이라는 직업도 무, 소과금이 키우기에 좋지만 어느정도 금공훈이 필요하고 초기 자본이 없을 경우 중반 레벨까지 키우는데 조금 힘들기 때문에 궁수를 더 추천 드린다. 많은 스타일중 가장 핫한 ADL 궁수 키우기를 공략하고자 한다.

본론

ADL?

스텟 중에 Agi, Dex, Luk 3개를 줄여서 ADL이라고 한다. 공격속도 및 회피를 위한 어질과 공격력을 위한 덱스, 그리고 크리티컬 확률 및 소량의 데미지 회피 를 위한 럭을 골고루 올려주는 것을 뜻한다. 이 3가지를 골고루 올려 적 방어력을 무시하고 공격을 때리는 크리티컬을 기반으로 빠르게 평타만 때리는 스타일의 궁수이다.


이 ADL이 나올 수 있는 배경은 궁수 스킬 중에 올빼미의 눈, 엘리멘탈 에로우, 팔콘, 집중력향상, 트루사이트 등 비교적 평타에 힘을 실을 수 있는 스킬이 많기 때문이다. 특히 초월이라고 3차 전직 후 잡레벨 40을 달성하면 추가적으로 70까지 스킬을 찍을 수 있는데 이 때 초월 되는 스킬인 독수리의 눈, 엘리멘탈 에로우 등의 효율이 굉장하다. 이때 자신의 데미지의 최고 2~3배 까지 뻥튀기가 되는 시점이라 이때부터 스나이퍼는 날라다닌다고 봐도 된다. 그 전에는 솔직히 그렇게 좋은 편은 아니다. 궁수계열은 스나이퍼로 전직 후 잡 초월을 하고 나서부터 강해진다.


모바일 특성상 자동사냥이 있기 때문에 원거리 공격을 못하는 근접 격수들의 경우에는 흔히들 뚜벅이라고 한다. 궁수자체가 사거리도 넓고 평타만 때리기 때문에 모션도 좋아 스틸하기 가장 좋다. 궁발놈이라고 할 정도로 사냥터에 궁수가 사냥할 경우 근접 격수들은 몬스터를 건들어 보기도 전에 죽어버린다. 그만큼 ADL 궁수가 사냥속도도 월등하고 제니자체도 잘 버는 편이다.

장비 추천과 스텟, 스킬 찍는방법

무기는 일단 일반 크로스보우를 추천한다.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구하기도 쉽고 소켓 뚫기도 쉽다. 특히 카드를 두개 밖을 경우 상위 티어인 미스틱 보우만큼 대미지가 나오기 때문에 저렴한 크로스보우를 착용하면 된다. 그리고 여유가 생길 경우 한번에 미스틱보우 2소켓을 구하거나 만들 수 있다면 이때 갈아타면 된다.


스텟은 가장 먼저 가중치 포함 크로스 보우에 나와 있는 덱스만큼만 맞추면 되며 그 이후 어질을 약 60정도 까지 찍고 럭을 올려주면 된다. 그리고 럭 같은 경우에는 적당히 올려주면 되는데 필자는 60까지만 올려주었다. 그리고 어질을 마저 90까지 올려주고 나머지 스텟들은 다시 모두 덱스를 찍어주는 형식을 택하면 된다.

사실 어질은 장비 포함 A요리와 각성포션, 블레싱을 받고 공격속도가 480만 나올 정도로 찍으면 된다.


스킬은 어느정도 정해진 툴이 있다.

궁수

엘리멘탈 애로우 10 - 올빼미의 눈 10 - 독수리의 눈 10 - 애로우 샤워 10

헌터 (전직 후 프론테라 동쪽에서 팔콘을 대여받자)

집중력 향상 10 - 블릿츠 비츠 10 - 테이밍 - 10 - 디스럽션 애로우 5- 인저리 애로우 5

스나이퍼

트루사이트 10 - 야성각성 1- 왕실 10 - 야성각성 5 - 윈드워크 10 -  트랩연구 5


초월스킬

독수리의 눈 20 - 엘리멘탈 애로우 20 - 왕실 15 - 야성각성 10


초월 시에는 개인적으로 독수리의 눈, 엘리멘탈 애로우 1개씩 올려주는게 낫다. 대미지 상승폭 자체는 독수리의 눈이 크지만 가까울 경우 무용지물이기 때문이다.


사냥 스타일은 그냥 자동사냥에 평타, 트루사이트만 넣어두고 돌리면 된다. 너무 간단하지 않는가?

무기 외에 장비를 추천해드리겠다. 한정 장비들은 현질 없이는 뽑기 힘든 장비들이다. 하지만 정말 좋긴 좋다.

무기 : 크로스 보우 2소켓 - > 한번에 미스틱 2소켓

(대게는 5.0 이후 망했다. 하지만 명궁, 첨예3 이상이라면 대게를 써도 된다.)

보조 : 나일로즈

갑옷 : 타이즈(별아처스켈레톤 카드) -> 스나이퍼 코트 소켓

망토 : 런닝셔츠(바쥬 카드)

신발 : 야성부츠(수컷 도둑벌레 카드)

악세1: 브로치 류(코볼트 카드)

악세2: 병속의 요정(코볼트 카드 or 천하대장군 카드)

투구 : 모험가 모자 or 한정의상 창공의 뿔 (별 로커 카드)

중단 : 드래곤의 문양

하단 : 바람총

걸칠 것 : 한정 성검나바리안 or 95아마쯔 퀘 벚꽃인형

꼬리 :  한정 의상 대미지 뻥튀기류 (하늘의 요정, 병정인형의 행진 등)


인챈트는 명궁, 첨예가 붙으면 좋고 아니더라도 물리대미지 증가, 크뎀 증가가 있으면 된다.

명궁이나 첨예는 돈이 있어도 구하려는 사람들 때문에 거래소에서 구하긴 힘든편이다.


일단 고급인챈트를 시도하여 전 의상에서 ATK이라도 챙기고 (이게 생각보다 크다) 그 이후에 천천히 물리대미지증가, 크뎀증가로 노려보면 된다.


크리티컬 평타 기반의 직업들은 크리티컬 자체가 적 방어를 무시하고 대미지를 넣는 형태이기 때문에 방어무시 관련 옵션은 전혀 필요가 없다.

오로지 ATK 공격력, 물리대미지 증가, 크리티컬 대미지 증가 등만 챙기면 된다.


스나는 초월을 위한 영광의 증표만 총 90개만 잘 모으면 되고 룬은 어택, 크리율, 덱스 위주로 챙긴다고 보면 된다. 특별히 꼭 찍어야할 룬은 딱히 없고 효율도 그닥이며 여유가 있을 때나 크리뎀이나 엘리멘탈 애로우 룬을 챙겨주면 되겠다. 이를 위한 길드가입은 필수이다.

궁수 사냥터 추천

1. 궁수로 전직하고 퀘스트 위주로 플레이 하는게 좋다. 그게 아니라면 부캐라는 가정하에 프론테라 지하수로에 들어가자마자 11시 쪽에 있는 타로우를 잡는 것을 추천한다. 무한 젠 자리이다. 그리고 속성석을 먹고 바돈을 오기 전에 잡을 수 있다면 바람 속성석을 먹고 이즈루드 해저동굴의 바돈 잡이를 하면 된다. 바돈카드 및 강철을 노리기 위함이다.

2. 전직 후에는 장비가 된다면 속성석을 먹고 고블린 숲의 고블린 스팀라이더를 추천한다. 궁수를 키운다면 고블린 스팀라이더와 고블린 아쳐 카드를 먹고 저장을 하면 좋다. 원콤 상인들이 즐비하다면 묘르닐 산맥 5시 자리의 호넷 무한젠 자리 제자리 사냥이나 11시쪽 맨블릿 카드를 노리면 된다. 되도록이면 속성석을 먹고 동일 시간내에 많이 잡는 것을 추천한다. 몬스터 레벨 +20까지 있어도 좋다.

3. 이제 개미지옥 11시 자리 무한 비타타를 노려봐도 좋다. 비타타가 힘들다면 개미지옥 입구 쪽의 앙드레를 잡자. 앙드레는 해당 속성석도 주기 때문에 속성석 비용이 어느정도 절감 된다. 비타타를 두방에 잡을 수 있다면 꽤나 돈이 벌린다. 이 시기에 아마 스나이퍼로 전직을 할 것이다.


4. 전직 후 비타타 레벨 +20까지 계속 있어도 되고 레벨이 높아진다면 페이욘 숲 천하대장군 무한젠 자리에서 사냥하거나 개미굴 12시 쪽의 마타밭에서 사냥을 해도 좋다.

5. 딜이 안나오더라도 속성석을 먹고 오크아쳐를 잡으러 가자. 잘 살펴보면 궁수 사거리내에 오크아쳐 3마리를 잡을 수 있는 포인트가 3군대 정도 있다. 오크아쳐는 넉백 스킬을 사용 하기 때문에 자리를 잡았다면 채팅방을 켜놓아 넉백에서 자유로워 지자. 이 시기 부터 존버의 시간이다. 맨블릿카드, 하키마스크가 있다면 딜 상승에 큰 도움을 준다. 91까지 존버하면 된다.


6. 빠른 레벨업이 필요하다면 시계탑 지하 오크레이디를 노리자. 맨블릿카드를 착용, 하키마스크를 착용하고 플레임 하트를 빨고 잡아주면 된다. 이 곳은 돈을 번다기보단 빠른 레벨업을 위함이다. 초월을 거듭하여 1~2방내로 오크레이디를 잡을 수 있다면 하루 360분 기준 순수 제니만 약 80~100만 정도는 벌 수가 있는 것 같다. 


7. 오크레이디 경험치 패널티가 레벨 99에 풀리는데 아무래도 91~99 사이에 사냥터가 애매하다. 업은 느리더라도 돈을 더 벌고 싶다면 아크아쳐, 아니라면 오크레이디 이다. 중간에 코볼트 해머도 있긴 하지만 해머 잡을 스펙이라면 오크레이디가 낫고 아니라면 아쳐를 계속 잡는게 좋을 것 같다. 오크레이디는 시계탑 지하 입구 바로 아래의 3젠자리, 5시 방향 2젠자리 그리고 9시 방향 넓은자리, 11시 2~3마리 젠 자리 등이 있다. 보통 자리가 없어 9시에 풀어넣고 키우는 경우가 많다.


8. 필자가 페노메타 1~2방 정도 스펙인데 돈도 벌겸 보통 페노메타를 계속 잡는다. 레벨 110까지 이곳에서 키워도 무리가 없다. 상위 사냥터로 가기엔 원하는 스펙기준이 확 오른다. 평타가 약 18만 이상이 안뜬다면 페노메타만 주구장창 잡아야 한다.  페노메타 잡템이 잘 팔리는 편이고 페노메타도 경쟁자가 많다면 브릴라이트를 잡는 것도 좋다.


9. 보통 이 시기에 재미가 없어서 직업변경 등의 고려를 하게 되니 참고 하자. 필자도 114까지 키우고 화이트스미스까지 키우다가 현재는 로드나이트에 올인 중이다. 직업변경 시스템은 정말 좋은 것 같다.

결론

전체적인 ADL 스나 키우기에 대해 소개해드렸다. 대략적인 키우는 방법이며 사람에 따라 키우는 방식이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참고만 하면 될 것 같다. 무, 소과금으로 보스잡이와 공성전에 크게 관심이 없다면 ADL 스나는 최고의 직업이다. 사냥속도 갑, 노가다 갑, 어느정도 레벨이 되면 쩔로도 제니를 챙길 수 있기 때문에 입문하는 초보분들에게 가장 추천하는 직업이니 키워보시길 바란다.